사이트정보

광주광역시서구문화원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통합검색 검색 폼

게시물 (107건)

竹塢權公墓誌銘 幷序 -노백헌집(老柏軒集) 권41
竹塢權公墓誌銘 幷序 - 권정희(權應五)이다.권준(權濬, 1578~1642), 광주목사로 의령 안동권씨 명석적의 입향조이다. 권정희는 그의 후손이다.노백헌집(老柏軒集) 권41영오(英五), 후윤(厚允)이고, 호는 기정진(奇正鎭)의 문인. 김석귀(金錫龜), 정의림(鄭義林), 기우만(奇宇萬), 허유(許愈), 곽종석(郭鍾錫) 등과
處士權公墓碣銘- 월고집(月皐集) 권15 / 墓碣銘
處士權公墓碣銘- 權思璨월고집(月皐集) 권15 / 墓碣銘직교(直敎), 호는 기정진(奇正鎭)의 문인. 정태원(鄭泰元), 이최선(李最善), 김녹휴(金祿休), 최익현(崔益鉉), 기우만(奇宇萬) 등과 교유했다.處士權公諱思璨。歿已八十餘禩。其玄孫載斗請碣銘于趙性家曰。府君望實俱隆。足以不朽。而狀誌俱闕。惟挽祭一卷存焉
최윤환崔允煥(1898~1979)
근대의 한학자로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덕선(德善). 호는 경당(敬堂). 상정(相廷)의 아들로 광산구 양과동 야평마을 출신이다. 1898년 광주 이장리에서 출생하여 죽파(竹坡) 최기룡(崔基龍)에게 경전을 배우고,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을 스승으로 삼고 가르침을 받아 학문이 경지에 이르렀다. 우정(愚汀) 고광익(高光
지산유고 志山遺稿
고재현(高在鉉, 1885~1967) 1책, 필사본. 고재현은 초명이 재봉(在鳳)이며, 자는 치구(致球)이고, 호는 지산(志山)이다. 1885년 12월 24일 무안읍 용월리 토동 집에서 태어났다. 일곱 살에 입학하였는데, 서당 선생이 그의 재능을 시험해 보고자 매일 통사 5백 행을 과제로 내었는데 다음날 아침에 모두 외우고서 한 글자도
봉산정 鳳山亭
근세 초 기의 한학자 고재현(高在鉉, 1885 ~ 1967)이 지어 학문을 강구하며 후학을 가르치는 강학터로 사용했다.그는 고재현은 초명이 재봉(在鳳)이며, 자는 치구(致球)이고, 호는 지산(志山)이다. 무안읍 용월리 토동에서 태어났다.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고경명(高敬命)의 후손으로 민재(敏齋) 박임상에게 나아가 공부하였
석서정사(石西精舍)
광주 남구 월산동에 석서정사(石西精舍)가 있다. 김상기(金相基, 1891∼1954)가 말년에 정사를 짓고 문인ㆍ벗들과 시문을 지으며 살았다.   김상기(金相基)의 자는 찬경(贊敬)이요, 호는 석서(石西)며 본관은 김해(金海)다. 1891년(고종 17)에 광주에서 가선대부(嘉善大夫),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인 김용후(
후석유고- 오준선
후석 오준선의 <후석유고>『후석유고』는 한말의 유학자인 오준선의 목활자본 시문집으로, 25권 12책에 달하는 방대한 양이다. 권1, 2는 오준선의 詩와 賦 451수가 수록되어 있다. 사우들과의 차운시 및 輓詩를 비롯해서 述懷 및 景物詩 등 다양한 내용의 시를 시기별로 편집하였다. 스승인 奇正鎭을 비롯해서 宋近洙,
박광후 朴光後
안촌(安村) 박광후(朴光後, 1637(인조 15)∼1678년숙종 4)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사술(士述), 호는 안촌(安村)이다.조부는 진사(進士) 칠졸재(七拙齋) 박창우(朴昌禹)이고, 부친은 충의위(忠義衛) 박천용(朴天用)으로 일찍 세상을 떠났다. 모친은 남씨(南氏)이고 부인은 홍씨(洪氏)이다. 광산
서은정사 瑞隱精舍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 1846(헌종 12) ~ 1916)이 쓴 서은정사기(瑞隱精舍記) 송사집(1931) 권18에 전하고 있다. 瑞隱精舍記  "有不隱。隱則吾必曰瑞石乎。瑞石爲山。南服之鎭。中立而不倚。如巨人長德。咡詔生徒。是以或出或處之君子。環山輩出。蓋所謂地靈人傑者也。北馳一支。回抱作區。范氏世葬而世居。衣冠十世
류인석(柳寅奭)
유인석(柳寅奭)의 자는 춘백(春伯), 호는 수당(睡堂)으로 본관은 문화(文化)이다. 아버지는 유하영(柳河永, 號 農山), 어머니는 파주(坡州) 염씨(廉氏) 재묵(在黙)의 딸이다. 1859년(철종 10) 5월 9일 태어나 광산구 삼도면에서 살다가 1931년 2월 25일에 세상을 떠났다. 수당(睡堂) 류인석(柳寅奭)은 문화 류씨(文化 柳氏
노석용(盧錫容)
노석용(盧錫容, 1879~1954)의 본관은 광산, 자는 성행(性行), 호는 秉燭(齊)이다.부 : 盧澤奎조 : 盧景薰증조 : 盧弼仁외조 : 宋在淇처부1 : 鄭圭鎭송사 기우만에게 수학하였다.1935년 4월에 吳東洙 高光洙 등 33명과 함께 도내 유생에게 通文을 보냈다.
기회성(奇會性)
기회성(奇會性, 1889~1943)의 본관은 행주, 자는 연술(然述),성술(成述)이고 호는 연파(蓮波)이다.부 : 奇世國조 : 奇景燮증조 : 奇東燁외조 : 尹泰浩, 鄭鼎鉉처부1 : 朴魯術송사 기우만에게 수학하였다.1916년 송사 선생 襄禮 때 참석하였다.
경모재 敬慕齋
광산구 동호동 본촌 206-5경모재 敬慕齋는 김해부사를 지낸 청송심씨 심광헌(1641~1593의 재실이다.무등산(無等山) 서쪽 50里 본량방(本良坊)에 太白의 雄氣가 연맥(聯脈)하여 용진산(聳珍山) 靈峰에 精氣를 結集시켜 개국(開局)한 湖南의 大明堂인 만월괘서혈(滿月掛西穴)이있으니 바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金
최수화(崔洙華)
최수화(崔洙華, 1885~1962)의 본관은 경주이며 자는 성관(聖觀), 호는 운파(雲坡)이다. 남구 대촌면 양과리에 거주했다.부 : 崔明鎭조 : 崔基龍증조 : 崔有煥외조 : 柳仲根처부1 : 李寅植송사 기우만에게 수학하였다.1916년 송사 선생 襄禮 때 喪次 司書로 참석하였다.1929년 羅燾圭 문인들의 契에 참여1935년 4월에 秉天祠
이계종(李啓琮)
이계종(李啓琮, 1857~?)의 본관은 함평이며 자는 명숙(明淑), 호는 삼산(三山) 이다. 광주 서방면 오치리에 살았다.송사 기우만에게 수학하였다.1916년 송사 선생 襄禮 때 典賓으로 참석하였다.1924년 담대헌의 중건시 100냥을 성금으로 내었다.1927년 8월에 吳駿善 柳昌秀 등과 함께 蘆沙 문도들에게 高山祠에 함께 배향할
이계익(李啓翼)
이계익(李啓翼, 1878~?)의 본관은 함평이며 자는 경직(敬稷), 호는 오촌(梧村)이다. 광주 누문리에 살았다. 부 : 李龍憲조 : 李敏炯증조 : 李萬燁외조 : 閔三顯송사 기우만에게 수학하였다.1916년 송사 선생 襄禮 때 通贊으로 참석하였다.1924년 담대헌의 중건시 750냥을 성금으로 내었다.1935년 4월에 秉天祠의 일로 鳳山精
안종기(安鍾基)
안종기(安鍾基, 1881~1949)의 본관은 죽산이며 자는 중술(仲述), 호는 술재(述齋)이다.부 : 安圭容조 : 安國煥증조 : 安鳳壽외조 : 李相輝처부1 : 奇春衍송사 기우만에게 수학하였다.1916년 송사 선생 襄禮 때 贊引으로 참석하였다.1924년 담대헌의 중건시 50냥을 성금으로 내었다.1927년 8월에 吳駿善 柳昌秀 등과 함께 蘆
안병택(安秉宅)
안병택(安秉宅, 1861~1936)의 본관은 竹山, 자는 처인(處仁) , 호는 부해(浮海)이다. 하남면 장자동에 거주했다. 《부해유고》가 있다.부 : 安達三조 : 安鍾秀증조 : 安弼蓮외조 : 坡州 尹처부1 : 金海 金송사 기우만에게 수학하였다.1916년 송사 선생 襄禮 때 執禮로 참석하였다.1924년 담대헌의 중건시 30냥을 성금으로 내
안규일(安圭鎰)
안규일(安圭鎰, 1888~1965)의 본관은 竹山 자는 공익(公益), 호는 만성(晩惺)이다. 부 : 安正煥조 : 安瑛壽증조 : 安思行외조 : 尹佑鎭처부1 : 曺圭斗송사 기우만에게 수학하였다.1916년 송사 선생 襄禮 때 賓次司書로 참석하였다
안규면(安圭冕)
안규면(安圭冕, 1880~1958))의 본관은 竹山이고 자는 자용(子用), 호는 삼곡(三谷) 이다.거주지역은 광주 서방면 봉곡리이다.송사 기우만에게 수학하였다. 916년 송사 선생 襄禮 때 喪次司書로 참석하였다.1924년 담대헌의 중건시 5냥을 성금으로 내었다.
  • 광주광역시
  • 한국학호남진흥원
  • 사이버광주읍성
  • 광주서구청
  • 광주동구청
  • 광주남구청
  • 광주북구청
  • 광주광산구청
  • 전남대학교
  • 조선대학교
  • 호남대학교
  • 광주대학교
  • 광주여자대학교
  • 남부대학교
  • 송원대학교
  • 동신대학교
  •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광주문화예술회관
  • 광주비엔날레
  • 광주시립미술관
  • 광주문화재단
  • 광주국립박물관
  • 광주시립민속박물관
  • 국민권익위원회
  • 국세청